집 짓기 당신은 준비됐습니까? - 당신을 위한 집 짓기 A to Z
땅콩집, 외콩집, 완두콩집, 콤팩트하우스, 묘듈러주택…. 지금 대한민국은 집 짓기 열풍입니다. 은퇴해서 혹은 귀농해서 전원주택을 짓는다는 것은 이제 옛이야기입니다. 아파트 한 재 장만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던 30, 40세대가 그 바람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직장생활은 도시에서 하되, 집만큼은 답답한 아파트를 벗어나 도심 근교 자연 속에서 살길 희망합니다. 내 꿈이 담긴 집 짓기, 먼저 실천에 옮긴 4명의 사례를 소개합니다. 이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여보세요. 나만의 집 짓기가 한결 수월해질 것입니다.


* 당신을 위한 집 짓기 House building A to Z
[Step 1] 계획, 예산 세우기
계획 단계에서는 어느 지역에 얼마의 예산을 들여 언제 집을 지을지 결정한다. 예산을 세울 때는 예비비를 고려해 산출한다. 집 짓기는 변수가 무척 많다는 점을 명심할 것.
[Step 2] 토지 구매
토지 소유주로부터 땅을 사거나 한국토지주택공사(LH) 택지지구의 단독주택 용지를 분양 받는 방법이 있다. 집 지을 땅을 직접 답사해 경관은 물론, 전기 등 기반시설 여부를 따져본 뒤 산다. 주변에 도로가 있는 땅을 구입해야 추후 인허가를 받는 데 문제가 없다. 주변 환경에 따라 다르나 수도권의 경우 대지 기준으로 3.3㎡당 100만~500만원 선이고 수도권을 벗어나면 그 이하다.
[Step 3] 설계
본격적인 집 짓기의 출발이자 가장 중요한 단계가 설계다. 설계는 배치계획, 평면계획, 입면계획을 잡는 것이다. 배치계획은 프라이버시, 채광, 통풍, 방재 등을 고려해 공간을 배치하는 것이고 입면계획은 집의 외부 모양이다. 특히 설계할 때는 가족 수와 라이프스타일을 우선 고려해야 한다. 주택 내부 공간을 결정할 때는 방향이 매우 중요하다. 북쪽에는 냉장고·저장실·화장실을, 남쪽엔 아이방·테라스·발코니 등이 적당하다. 침실·식당·부엌 등은 아침에 햇살을 받는 동쪽에, 욕실·세면소·건조실 등은 서쪽에 두는 것이 좋다.
[Step 4] 시공
시공업체 선정이 우선이다. 누구에게 공사를 맡길 것인가는 사후 관리와도 연결되는 문제이므로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이때 논의해야 할 사항은 건축비는 어느 정도로 할 것이며 어느 선까지 업체에 맡길 것인가다. 그리고 건축비를 어떤 방식으로 지급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시공업체와 협의해서 결정해야 한다. 집을 지을 때 드는 공사비는 일반적으로 평당 400만원대. 인테리어 공사 전체와 기본적인 조경 공사까지 포함한 금액이다.
[Step 5] 사용 승인, 등기
여기까지 왔으면 거의 다 온 셈이다. 건축공사가 완료되면 사용승인을 받은 후 건축물대장을 만든다. 건축물대장이 만들어지면 보존등기를 하게 된다. 이렇게 하면 집 짓기가 일단락된다.
[Step 6] 생활
드디어 입주. 맘껏 즐거워해도 좋다. 그러나 아무리 들뜨고 신이 나도 잊지 말아야 할 것이 있다. 하자 보수 건이다. 주택시공업체와 협의한 A/S에 대해서도 다시 한 번 명확히 확인해둬야 한다.
* 라이프스타일 체크하기
나와 가족의 꿈을 담은 집을 짓고 싶다면 먼저 라이프스타일부터 체크해야 한다. 가족 특성과 요구, 취향, 생활패턴, 바람 등을 세심하게 살펴야 정말 원하는 집을 설계할 수 있다. 아래 문항에 꼼꼼하게 답해가며 그림을 그려가다보면 내가 원하는 집의 윤곽이 잡힌다.
1. 집을 왜 지으려고 하는가?
① 거주 ② 세컨드하우스 ③ 투자 ④ 기타 ( )
2. 거주하게 될 가족 구성원은?
(자녀 수와 연령도 기입)
3. 집을 지을 때, 가장 바라는 점은? (가족별로 기입)
4. 계획하는 집의 면적은?
① 30평 이하 ② 30~40평 ③ 40~50평 ④ 50~60평 ⑤ 60평 이상
5. 계획하는 집의 구성은?
① 1층 단독주택 ② 2층 이상 단독주택 ③ 1층 근생(카페 또는 음식점), 2층 주거 ④ 기타 ( )
6. 고려하고 있는 방의 개수는? (단층일 경우)
7. 2층 이상 복층구조일 경우 1층과 2층에 원하는 공간은?
8. 그 밖에 필요한 공간은? (복수 체크)
① 홈시어터 ② 휘트니스 ③ 서재 ④ 개인 작업실 ⑤ 가족실 ⑥ 게스트룸 ⑦ 자녀를 위한 공간 ⑧ 다용도실 ⑨ 기타 ( )
9. 지하층은?
① 매우 선호 ② 선호 ③ 보통 ④ 필요 없음
10. 다락층은? (경사지붕일 경우)
① 매우 선호 ② 선호 ③ 보통 ④ 필요 없음
11. 거실천장을 2층까지 오픈하는 것은?
① 매우 선호 ② 선호 ③ 보통 ④ 필요 없음
12. 선호하는 지붕 스타일은?
① 평지붕 ② 경사지붕 ③ 평지붕 + 경사지붕 ④ 기타 ( )
13. 선호하는 외장 마감재는? (복수 체크)
① 화강석 계열 ② 대리석 계열 ③ 라임스톤 ④ 목재 ⑤ 벽돌 ⑥ 노출콘크리트 ⑦ 징크판 ⑧ 동판 ⑨ 금속 ⑩ 드라이비트 ⑪ 스터코플러스 ⑫ 타일 ⑬ 기타 ( )
14. 외부공간 및 옥상 공간 사용용도는?
① 정원 ② 텃밭 ③ 놀이터 ④ 연못 ⑤ 바비큐 파티 ⑥ 운동시설(농구, 골프) ⑦ 애완동물 ⑧ 기타 ( )
15. 패시브하우스 및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생각은?
① 매우 선호 ② 선호 ③ 보통 ④ 필요없음
16. 필요한 주차대수는?
① 1대 ② 2대 ③ 3대 이상
17. 그 외 외부에 반영하고 싶은 부분은?
18. 착공을 시작하고자 하는 시점과 희망 입주 시기는?
[사진] 김진수, 박여희, 김민지
[도움말] 발트하임 1577-5264
'전원주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혜정의 프로방스풍 동탄 집 (0) | 2015.01.05 |
---|---|
노석미의 고양이가 있는 양평 집 (0) | 2015.01.05 |
김병만의 가족 맞춤형 가평 집 (0) | 2015.01.05 |
[내집마련] 4300만원으로 시공한 튼튼한 15평 소형 원목주택 (0) | 2013.10.08 |
[내집마련] 2천만원대의 팬션형 세컨house 컨셉 (0) | 2012.07.12 |